프랑스-한국 수교 140년의 여정을 기념하다

창의, 기회, 연대의 해

140년의 우정

2026년, 프랑스와 대한민국은 1886년 조불수호통상조약을 통해 수립한 외교관계 140주년을 함께 기념합니다.

“창의, 기회, 연대”를 슬로건으로 한 이번 140주년 기념행사는 한 세기를 넘어 이어져 온 양국의 협력과 교류의 역사에 경의를 표하고, 미래를 향해 힘차게 나아가는 양국 관계의 비전을 보여줄 것입니다.

지난 5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샹그릴라 대화’에서 마크롱 대통령은 인도태평양 지역에 대한 프랑스의 새로운 전략 구상을 발표했습니다. 이 지역에서 대한민국은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그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프랑스와 한국은 외교, 안보, 국방은 물론 경제, 과학, 기술 등 모든 분야에서 전략적으로 협력하는 ‘21세기 포괄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이렇듯, 수교 140주년 기념행사는 양국의 주권을 모든 측면에서 존중하고 보존하는 데 초점을 맞춘 새로운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청사진을 제시할 것입니다.

대한민국 내 기념행사는 주한 프랑스대사관이 이끌어 나가며, 100여 개의 프랑스•한국 파트너 기관이 함께 협력해 프로그램을 꾸리게 됩니다. 정치•군사, 경제•통상, 과학•신기술, 문화•교육, 스포츠•관광 등 양국 관계 전반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행사가 마련될 예정입니다.

프랑스 내에서도 주프랑스 대한민국대사관과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이 주축이 되어, 2026년 한 해 동안 한국 문화를 조명하는 다양한 행사가 펼쳐질 예정입니다.

전국 공모를 통해 프랑스의 국·공립 미술 및 디자인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포스터 공모전의 결과물은, 프랑스 국립 낭트 보자르 미술대학교(École des Beaux-Arts de Nantes)를 졸업한 신진 예술가 아리안 다르피(Ariane DARPY) 씨의 작품입니다.
이 포스터는 상징적인 사물을 정교하게 배치해 구성하는 한국의 전통 회화 양식 ‘책거리’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작가는 이 미학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프랑스와 한국의 상징들이 한 화면 안에서 조화를 이루는 시각적 만남의 장을 만들어냈습니다.
작품 속에는 춤과 건축, 문화유산, 미식, 그리고 기술·산업 협력 등 두 나라를 잇는 폭넓은 교류의 상징들이 담겨 있습니다. 이는 프랑스와 한국이 맺어온 다채로운 우정과 협력의 역사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감사한 후원사

이번 특별 프로그램은 아래 기업들로 구성된 한불 수교 140주년 후원 위원회의 아낌없는 지원으로 가능해졌습니다.

140주년 기념 행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 프랑스 아티스트와 한국 아티스트가 함께하는 국내 주요 무대에서의 콘서트 및 공연
  • 주한프랑스대사관이 주도하는 다양한 분야의 페스티벌 : 음악(프랑스 음악 축제), 영화(프랑스 영화 페스티벌), 드라마(프랑스 드라마 페스티벌), 웹툰(프렌치툰 셀렉션), 디지털 아트(디지털 노벰버)
  • 국립박물관 및 유수 갤러리에서의 주요 전시
  • 문학 행사(공쿠르 문학상, 서울국제도서전 프랑스관, 이중언어 출간물)
  • 한국의 주요 대학 및 연구 기관과의 과학 및 학술 교류 프로그램
  • 시각예술 분야의 ‘빌라 부산’과 그래픽 아트 분야의 새로운 거점 ‘빌라 부천’을 통해 운영되는 아티스트 레지던시 프로그램
  • 한국 주요 무용·음악·연극·영화 페스티벌에서의 포커스 프랑스 프로그램
  • 한불 양국의 학교 및 대학 주관의 교육·스포츠 프로젝트(공모 사업)

2026년 봄-여름

  • 개막 콘서트(부천 아트센터에서 개최) – 부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지휘자 아드리앙 페뤼숑(Adrien Perruchon) 지휘
  • 하나의 지평에서 또 다른 지평으로 : 프랑스의 한국인 예술가 – 필립 티로 컬렉션〉전 – 프랑스에서 수학한 한국 예술가들의 걸작을 주한프랑스대사관저에서 최초 공개, 필립 티로(Philippe Tirault) 개인 소장품으로 구성
  • 제 4회 공쿠르 문학상-한국(주한프랑스대사관 주최) – 28개 교육기관 소속 174명의 한국 학생 패널이 2026년 수상작 선정
  • VR 전시 〈인상파 화가, 파리 1874>(서울 전쟁기념관에서 개최, Excurio사 제작) – 모네, 드가, 르누아르 작품 속 디지털 몰입 체험 제공(UNQP사 제작)
  • 부산 <리틀프린스하우스> 개관 – 부산 감천문화마을에 앙트완 드 생텍쥐페리(Antoine de Saint-Exupéry) 작품을 주제로 한 상설 문화 공간 개관(생텍쥐페리 재단 후원)
  • 프랑스 웹툰 페스티벌 – 최초의 프랑스 웹툰 온라인 페스티벌로, 재담사와 협력해 플랫폼 쇼츠(Shortz)에서 진행
  • 통영국제음악제 – 아시아 유수 클래식 음악 페스티벌인 통영국제음악제에 모딜리아니 콰르텟(Quatuor Modigliani) 출연
  • 프랑스 영화 페스티벌(서울·부산·광주) 주한프랑스대사관이 국내 ‘아르 에 에세(예술·실험 영화 전문관)’ 네트워크와 협력해 주최, 한국 관객에게 처음 선보이는 10편의 프랑스 영화 상영
  •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 – 국내 유수 실내악 축제에서의 프랑스 앙상블 및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한 ‘포커스 프랑스’ 프로그램
  • 청주 국립현대미술관(MMCA) 전시 <방혜자> – 프랑스에서 활동한 한국 화가 방혜자의 주요 회고전
  • 부산 루프 플러스 – 국제 디지털 아트 전시에의 ‘포커스 프랑스‘ 섹션(프랑스 갤러리 및 작가 초청)
  • 부산국제단편영화제(BISFF) – ‘포커스 프랑스’ 섹션을 통해 25편 이상의 프랑스 작품 상영, 프랑스는 올해 주빈국으로 참여
  • 서울공예박물관 전시 <대한제국의 공예> – 1889년과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에 출품된 한국 공예품의 전시로 국립 기메동양박물관, 파리 국립 기술공예박물관, 세브르 국립도자박물관 소장품 대여
  • 수원연극축제 – ‘포커스 프랑스‘(프랑스 거리 예술단 초청)
  • 오베르뉴론알프 국립 오케스트라 내한 투어 – 토마스 체트마이어(Thomas Zehetmair) 지휘, 첼리스트 양성원 출연
  • 행사 <여성과 과학, 그리고 기업가 정신>(이화여자대학교 개최) – 2026년 이화여자대학교 개교 140주년 기념
  • <프랑스 알룸나이 데이> 교류 행사 – 제 4기 한국프랑스알룸나이의 얼굴 선정자 발표를 포함한 교류 행사
  • 140주년 공식 기념식(서울 덕수궁 개최) – 예술적 놀라움을 세심히 간직한 특별한 만남
  • <외교적 선물 : 한국과 프랑스의 만남>전(국립고궁박물관) – 양국 초기 외교 관계의 상징적 교류품 전시
  • <빅토르 콜랭 드 플랑시(Victor Collin de Plancy) : 프랑스와 한국을 잇는 가교> 출간 프로젝트프랑스의 초대 주한대사를 조명한 저서로, 아뜰리에 데 카이에(Atelier des cahiers) 통해 이중언어(프랑스어, 한국어) 출간
  • 서울국제도서전 내 프랑스관 – 저명한 프랑스 출판사 및 작가 참여
  • 프랑스 음악 축제 – 전국 각지에서 개최되는 콘서트로 구성되는 스페셜 에디션(주한프랑스대사관 주관)
  • 부산국제무용제 – ‘포커스 프랑스‘ 통한 프랑스 무용단 공연
  • 빌라 부천 개관 – 최초의 그래픽 아트 분야 프랑스인 아티스트 레지던시로 부천시, 한국만화영상진흥원(KOMACON), 스트라스부르예술대학(HEAR) 협력
  •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AN) 장르 영화의 대표 축제에서 진행되는 ‘포커스 프랑스’
  • 평창대관령음악제클래식과 현대 음악을 아우르는 축제에서 진행되는 ‘포커스 프랑스’
  • <파리의 에투알> 갈라(예술의전당) – 파리 오페라 발레 에투알 무용수 박세은 참여
  • 빌라 부산(Villa Busan) 제 1기 입주작가 결과 전시 – 부산광역시, 칸(Cannes)시, 피맹코재단, 지중해예술캠퍼스의 협력으로 진행되는 프랑스 시각 예술 레지던시 프로그램
  • <이배 / 장-미셸 오토니엘>(주한 프랑스대사관저) – 조각과 추상의 대화를 주제로 한 전시(갤러리 페로탕(Perrotin) 협력, 프리즈 서울 연계)

2026년 가을-겨울

  • 광주비엔날레 – 프랑스관 내 아시아(한국, 일본, 대만) 프랑스 아티스트 레지던시 프로그램 선정 작가를 조명
  • 메츠 그랑테스트 국립오케스트라(Orchestre national de Metz Grand Est) 내한 투어(서울, 안동, 대구, 부산 진행)
  • 부산국제영화제(BIFF) – 프랑스의 밤(French Night) 개최
  • 춘천인형극제‘포커스 프랑스’ 프로그램(프랑스 공연단 및 작품 초청)
  •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 – 아비뇽 페스티벌(Festival d’Avignon) 초청 특별판으로 공연, 문학 교류 행사, 아이디어 포럼 등으로 구성
  •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렉(Henri de Toulouse-Lautrec)>전(세종문화회관) – 프랑스 화가 툴루즈 로트렉의 방대한 작품 컬렉션 소개
  • 프랑스-한국 조깅 및 걷기 대회(서울 올림픽공원 개최) – 한불 양국의 우정을 기리는 축제형 걷기 대회의 제 1회 개최
  • 예술가 스테판 티데(Stéphane Thidet) 전시(대구미술관)
  • 자라섬재즈페스티벌 – 국내 주요·최장 재즈 축제 내의 ‘포커스 프랑스’ 프로그램
  •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BIAF) 애니메이션 분야의 한국 및 아시아 대표 축제에서 진행되는 <프랑스의 해 : 랑데부> 프로그램
  • 프랑스 드라마 페스티벌 온라인 프랑스 드라마 페스티벌의 재개최, TRA Media사 협력
  • TV5 Monde 제작 프로그램 ‘Destination francophonie’의 최초 내한 촬영(한국 탐방 프로그램)
  • 각급 학교 내 ‘프랑스 주간(Semaine de la France)의 재개최 – 교육부와 협력해 한국 학교 네트워크에서 진행되는 사업의 11주년
  • 제 17회 제주프랑스영화제프랑스 현대 영화를 조명하는 한국 대표 영화제
  • ‘프랑스 교육 박람회(Étudier en France)’ 및 기관 교류 프로그램(서울) – 프랑스대사관 교육진흥원 Campus France 주관, 30여 개 프랑스 고등교육 기관 참가
  • 디지털 노벰버 축제(Novembre Numérique) – 디지털 아트 페스티벌의 재개최(주한프랑스대사관 주최, 한국 주요 기관 협력)
  • 바로크 음악 앙상블 ‘포엠 아르모니크(Poème harmonique)’ 내한 투어 – 한화클래식 프로그램 일환으로 진행
  • 빌라 부산(Villa Busan) 제 2기 입주작가 결과 전시(프랑스 시각 예술 레지던시 프로그램)
  • 피아니스트 알렉상드르 캉토로프(Alexandre Kantorow) 리사이틀(예술의전당) – 마스트미디어(Mast Media사) 제작
  • 전시 <파리의 한국 작가들 1950–1970(가제)>(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 1950~60년대 프랑스에서 활동한 한국 예술가들의 여정을 조명